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이날.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새정부 경제성장전략관계부처 합동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구 부총리,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새 정부 경제성장전략’ 관련 당정 협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AI를 제조업과 접목한 기업.
정부는 인공지능(AI)과 첨단 기술 투자를 집중해 인구 절벽과성장둔화의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구상이다.
시금석이 되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했다.
정부는 이날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AI·과학기술 분야에 중점을 둔 새 정부 경제성장전략을 확정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22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를 주재하며 이같이 밝히고 "과학기술 투자.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새정부 경제성장전략관계부처 합동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구 부총리,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송미령 농림.
지난 1월 윤석열 정부 때 발표한 ‘2025년 경제정책방향’과 이재명 정부가 이날 발표한 ‘2025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이다.
7개월 만에 정부의 재정정책 기조는 '건전'에서 '적극'으로 바뀌었다.
올초 강조했던 대외신인도 관리도 이번 경제성장.
국민성장펀드 등 민관 합동 재원으로 100조 원 이상을 투입할 예정입니다.
기획재정부는 오늘(2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새 경제성장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윤인대 차관보(가운데),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상세 브리핑 [기획재정부 제공] ◇ AI 대전환– 로봇·자동차.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기존 1.
9%로 반 토막 난 상황에서, AI 전환이성장둔화를 반전시킬 유일한 돌파구라는 판단에서다.
윤인대 기획재정부 차관보가 19일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에서 열린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상세 브리핑’에서 주요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이재명 정부 5년 간 기업과 공공, 국민 일상 등 모든 분야에 ‘인공지능(AI)’이 활용되는 AI 대전환이 추진.